Overleaf 가이드 (ACM)

본 글은 Claude 4 Sonnet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LaTeX는 학술 논문 작성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조판 시스템이다. Overleaf는 웹 기반 LaTeX 에디터로, 설치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어 초보자에게 특히 유용하다.

Overleaf 시작하기

Overleaf에서 새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여러 템플릿을 선택할 수 있다. ACM 템플릿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1. Overleaf 웹사이트에 접속
  2. "New Project" 클릭
  3. "Academic Journal" 카테고리에서 "ACM" 선택
  4. 프로젝트 이름 입력 후 생성

파일 확장자와 역할

LaTeX 프로젝트는 여러 파일로 구성된다. 각 파일의 확장자는 특정 역할을 나타낸다.

.tex 파일

메인 문서 파일이다. 논문의 실제 내용과 구조를 담고 있다. ACM 템플릿에서는 보통 main.tex 또는 sample-sigconf.tex가 메인 파일이다.

.bib 파일

참고문헌 데이터베이스 파일이다. BibTeX 형식으로 참고문헌 정보를 저장한다. 예: sample-base.bib

.cls 파일

문서 클래스 파일이다. 논문의 전체적인 레이아웃과 스타일을 정의한다. ACM 템플릿에서는 acmart.cls를 사용한다.

.sty 파일

스타일 패키지 파일이다. 특정 기능이나 서식을 제공한다.

.pdf 파일

컴파일된 최종 출력 파일이다. 실제 논문의 완성된 형태이다.

본문 작성법

기본 구조

ACM 템플릿의 기본 구조는 다음과 같다:

\documentclass[sigconf]{acmart}

% 패키지 import
\usepackage{graphicx}
\usepackage{amsmath}

% 메타데이터
\title{논문 제목}
\author{저자명}
\affiliation{소속}

\begin{document}

\maketitle

\begin{abstract}
초록 내용
\end{abstract}

\section{Introduction}
서론 내용

\section{Related Work}
관련 연구

\section{Methodology}
방법론

\section{Experiments}
실험

\section{Conclusion}
결론

\bibliographystyle{ACM-Reference-Format}
\bibliography{sample-base}

\end{document}

섹션과 서브섹션

\section{주요 섹션}
\subsection{서브섹션}
\subsubsection{세부 섹션}

수식 작성

인라인 수식은 $...$로, 별도 줄 수식은 $$...$$ 또는 \begin{equation}...\end{equation}으로 작성한다.

인라인 수식: $E = mc^2$

별도 줄 수식:
$$\sum_{i=1}^{n} x_i = x_1 + x_2 + ... + x_n$$

번호가 있는 수식:
\begin{equation}
\int_{0}^{\infty} e^{-x} dx = 1
\end{equation}

그림과 표

% 그림
\begin{figure}[h]
\centering
\includegraphics[width=0.8\columnwidth]{figure.png}
\caption{그림 설명}
\label{fig:example}
\end{figure}

% 표
\begin{table}[h]
\centering
\begin{tabular}{|c|c|c|}
\hline
항목1 & 항목2 & 항목3 \\
\hline
데이터1 & 데이터2 & 데이터3 \\
\hline
\end{tabular}
\caption{표 설명}
\label{tab:example}
\end{table}

참조

라벨을 사용해 그림, 표, 섹션을 참조할 수 있다.

Figure~\ref{fig:example}에서 보듯이...
Table~\ref{tab:example}는 다음과 같다...
Section~\ref{sec:intro}에서 설명했듯이...

Reference 작성법

BibTeX 파일 구성

.bib 파일에 참고문헌을 BibTeX 형식으로 작성한다.

@article{author2023title,
  title={논문 제목},
  author={저자명},
  journal={저널명},
  volume={볼륨},
  number={호수},
  pages={페이지},
  year={2023},
  publisher={출판사}
}

@inproceedings{smith2022deep,
  title={Deep Learning for Computer Vision},
  author={Smith, John and Lee, Jane},
  booktitle={Proceedings of CVPR},
  pages={1234--1245},
  year={2022}
}

@book{goodfellow2016deep,
  title={Deep Learning},
  author={Goodfellow, Ian and Bengio, Yoshua and Courville, Aaron},
  year={2016},
  publisher={MIT Press}
}

본문에서 인용

% 기본 인용
컴퓨터 비전 분야에서 딥러닝이 중요하다~\cite{smith2022deep}.

% 여러 문헌 동시 인용
최근 연구들~\cite{author2023title,smith2022deep}에 따르면...

% 저자명과 함께 인용
Smith et al.~\cite{smith2022deep}의 연구에서...

참고문헌 스타일 설정

ACM 템플릿에서는 다음 설정을 사용한다:

\bibliographystyle{ACM-Reference-Format}
\bibliography{sample-base}

논문 익명화 방법

학회 리뷰 과정에서는 블라인드 리뷰를 위해 논문을 익명화해야 한다. ACM 템플릿에서 익명화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anonymous 옵션 사용

문서 클래스에 anonymous 옵션을 추가한다.

\documentclass[sigconf,anonymous]{acmart}

이 옵션을 사용하면:

  • 저자명과 소속이 자동으로 숨겨진다
  • 각주의 저자 정보가 제거된다
  • 헤더/푸터의 저자 정보가 익명 처리된다

수동 익명화

더 세밀한 제어를 위해서는 수동으로 익명화할 수 있다.

% 저자 정보 주석 처리 또는 익명화
\iffalse
\author{실제 저자명}
\affiliation{실제 소속}
\fi

% 또는 익명으로 대체
\author{Anonymous Author}
\affiliation{Anonymous Institution}

본문 내 자기 인용 처리

본문에서 자신의 이전 연구를 인용할 때 익명화해야 한다.

% 익명화 전
우리의 이전 연구~\cite{mywork2022}에서...
Kim et al.~\cite{kim2023method}의 방법을...

% 익명화 후
이전 연구~\cite{mywork2022}에서...
기존 방법~\cite{kim2023method}을...

참고문헌 익명화

.bib 파일에서 자신의 논문을 익명화한다.

% 익명화 전
@inproceedings{mywork2022,
  title={My Previous Work},
  author={Kim, Jaehoon and Lee, Minsoo},
  booktitle={CVPR},
  year={2022}
}

% 익명화 후
@inproceedings{mywork2022,
  title={Previous Work on Similar Topic},
  author={Anonymous},
  booktitle={CVPR},
  year={2022}
}

조건부 컴파일

같은 소스로 익명/비익명 버전을 관리하려면 조건문을 사용한다.

\newif\ifanonymous
\anonymoustrue  % 익명화 활성화
% \anonymousfalse  % 익명화 비활성화

\ifanonymous
  \author{Anonymous Author}
  \affiliation{Anonymous Institution}
\else
  \author{실제 저자명}
  \affiliation{실제 소속}
\fi

주의사항

  • URL이나 코드 저장소 링크에서 저자 정보 제거
  • 감사의 글(Acknowledgments) 섹션 주석 처리
  • 그림이나 스크린샷에서 개인정보 확인
  • 데이터셋 이름이나 실험 환경에서 소속 기관 정보 제거

최종 제출 준비

PDF 메타데이터 확인

생성된 PDF의 속성에서 저자 정보가 완전히 제거되었는지 확인한다.

파일명 규칙

학회에서 지정한 파일명 규칙을 따른다. 보통 논문 ID나 익명 식별자를 사용한다.

paper_123.pdf  (논문 ID 사용)
anonymous_submission.pdf  (익명 제출)

LaTeX는 처음에는 복잡해 보이지만, 기본 구조를 이해하면 효율적으로 고품질 논문을 작성할 수 있다. 특히 수식이 많은 컴퓨터 비전 논문에서는 LaTeX의 장점이 더욱 부각된다.